부가가치세 계산기

부가가치세 금액과 부가세 포함/제외 가격을 쉽게 계산하세요。

%
계산 기준

결과

공급가액
부가세액
합계 금액

소개

VAT Calculator는 금액이 부가가치세(VAT) 포함인지, 별도인지에 따라 공급가액(부가세 제외 금액), 부가가치세, 총액(부가세 포함 금액)을 빠르게 계산해 주는 도구입니다. 자영업자, 프리랜서, 회계·구매 담당자, 온라인 판매자, 견적·청구서 작성이 잦은 분들께 유용합니다. 대한민국 기준 기본 세율은 10%이며, 금액 표시는 원(₩) 단위를 사용합니다.


사용 방법

  1. 금액 입력

    • 계산하려는 금액(₩)을 입력합니다.
    • 이 금액이 부가세 포함 가격인지, 부가세 별도(공급가액)인지 선택합니다.
  2. 세율 선택

    • 기본값은 10%입니다. 필요 시 다른 세율로 바꿀 수 있습니다(영세율 0% 등).
  3. 계산 실행

    • 버튼을 누르면 아래에 공급가액, 부가세, 총액이 표시됩니다.
  4. 결과 해석

    • 세금계산서/영수증 작성 또는 견적 비교에 바로 활용합니다.

입력 항목 설명

  • 금액(Amount):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소비자 가격처럼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일 수도 있고, B2B 견적처럼 부가세가 별도인 공급가액일 수도 있습니다.
  • 세율(VAT rate): 대한민국 표준 세율은 10%입니다. 수출 등은 0%(영세율), 일부 업종·재화·용역은 면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계산 기준(Calculation type):
    • 부가세 포함 금액에서 분리: 총액에서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분리합니다.
    • 부가세 별도 금액에 더하기: 공급가액에 세율을 적용해 부가세와 총액을 구합니다.

결과 및 해석

  • 공급가액(Price excluding VAT):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과 동일 개념입니다.
  • 부가가치세(VAT amount): 세율을 적용해 산출한 세금 금액입니다. 세금계산서의 “세액”에 해당합니다.
  • 총액(Price including VAT):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합한 금액입니다. 소비자에게 청구되는 최종 결제액과 동일합니다.

계산 방식 및 가정

  • 기본 공식

    • 부가세 별도 기준(공급가액이 입력된 경우)
      세액 = 공급가액 × (세율 ÷ 100)
      총액 = 공급가액 + 세액
      
    • 부가세 포함 기준(총액이 입력된 경우)
      공급가액 = 총액 ÷ (1 + 세율 ÷ 100)
      세액 = 총액 − 공급가액
      
  • 반올림 규칙: 원 단위로 일반적인 반올림을 적용합니다. 일부 매장·현금거래에서는 10원 단위 현금반올림이 있을 수 있으며, 영수증/전표 내 항목별 계산 방식에 따라 1~10원 정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한계: 단일 세율만 가정합니다. 과세/면세 또는 영세율 항목이 혼재된 복합 계산, 개별 품목 단가×수량의 항목별 반올림, 개별 비용의 과세 여부 판단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국형 부가세 기초 상식

  • 표준 세율: 10%
  • 영세율(0%): 주로 수출 및 일부 국제거래
  • 면세: 교육·의료·금융 등 일부 재화·용역은 면세가 적용됩니다.
  • 서류 용어: 세금계산서(공급가액·세액 표기), 계산서/영수증, 합계금액(총액)
  • 가격 표기: 소비자 대상 가격은 통상 부가세 포함가로 안내되며, B2B 거래에서는 “VAT 별도” 표기가 빈번합니다.
  • 유의: 세법·고시·업종별 예외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신고·발행은 최신 규정을 확인하세요.

실무 팁과 전략

  • 포함/별도 구분부터: 견적이나 계약서에 “VAT 포함/별도” 문구가 있는지 먼저 확인합니다.
  • 할인·쿠폰 적용 순서: 일반적으로 할인 적용 후 남은 금액에 세율을 적용합니다.
  • 배송비·수수료: 거래의 필수 비용이면 대체로 과세 대상에 포함됩니다. 계약서·이용약관을 확인하세요.
  • 항목별 계산 vs 합계 계산: 품목이 많으면 항목별로 공급가액과 세액을 계산한 뒤 합산하는 방식이 흔합니다. 반올림 차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사업자 서류: 세금계산서에는 공급가액과 세액을 명확히 구분해 기재하세요.
  • 해외·특수 세율: 국내가 아닌 경우 또는 특례가 있다면 세율을 해당 값으로 변경해 시뮬레이션하세요.

예시 계산

  1. 부가세 포함 금액에서 분리

    • 상황: 결제 총액이 ₩55,000, 세율 10%
    • 계산:
      공급가액 = 55,000 ÷ 1.1 = ₩50,000
      세액 = 55,000 − 50,000 = ₩5,000
      
    • 해석: 세금계산서에는 공급가액 ₩50,000, 세액 ₩5,000, 합계금액 ₩55,000으로 기재됩니다.
  2. 부가세 별도 금액에 더하기

    • 상황: 공급가액이 ₩275,500, 세율 10%
    • 계산:
      세액 = 275,500 × 10% = ₩27,550
      총액 = 275,500 + 27,550 = ₩303,050
      
    • 해석: 고객 청구 총액은 ₩303,050입니다.
  3. 반올림이 필요한 사례

    • 상황: 공급가액이 ₩12,345, 세율 10%
    • 계산:
      세액 = 12,345 × 10% = ₩1,234.5 → 원 단위 반올림 = ₩1,235
      총액 = 12,345 + 1,235 = ₩13,580
      
    • 해석: 현장 전표에 따라 1~10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 VAT 포함가에서 왜 10%를 빼면 안 되나요?
    포함가는 이미 세금이 얹힌 금액이므로, 공급가액을 구할 때는 총액 ÷ 1.1(세율 10% 기준)로 나눠야 정확합니다. 단순히 총액의 10%를 빼면 과소계산됩니다.

  • 한국의 부가세는 항상 10%인가요?
    대부분 거래에 10%가 적용되지만, 수출 등은 영세율 0%, 일부 업종·재화·용역은 면세입니다. 거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배송비나 카드수수료도 부가세 대상인가요?
    거래의 대가로 수취하는 대부분의 부대비용은 과세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계약·약관·법령에 따라 예외가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계산 결과가 영수증과 약간 다른 이유는?
    항목별 반올림, 합계 한 번에 반올림, 현금 결제 시 10원 단위 반올림 등 실무 처리 기준 차이로 1~10원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면세나 영세율 거래도 계산할 수 있나요?
    세율을 0%로 설정하면 총액=공급가액, 세액=₩0으로 계산됩니다. 다만 면세·영세율 해당 여부 판단은 별도의 요건 검토가 필요합니다.


요약

VAT Calculator는 부가세 포함·별도 여부에 따라 공급가액, 세액, 총액을 원(₩) 단위로 정확히 계산합니다. 기본 세율 10%를 기준으로 하되, 영세율·면세 등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신고 또는 발행 전에는 최신 규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지금 위의 계산기에 귀하의 금액과 세율을 입력해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