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을 시급으로 계산기
연봉을 시급, 일급, 주급, 월급으로 변환합니다.
내 정보
급여 분석
소개
Calq.의 Salary to Hourly Calculator는 연봉(연간 총보수)을 실제 근무 시간 기준의 시급, 일급, 주급, 월급으로 변환해 줍니다.
구직자, 재직자, 인사/총무 담당자, 프리랜서가 급여 조건을 서로 다른 단위로 비교·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 통화: 원(₩)
- 소수점: 마침표(.)
- 천 단위: 쉼표(,)
- 표준 주당 근무시간: 40시간
- 월급 계산: 항상
연봉 ÷ 12
작동 방식
- 연봉(세전)을 입력합니다. 필요하면 상여·성과급 등 변동급을 합산해 연간 기준으로 넣으세요.
- 주당 근무 시간(예: 40시간)과 주당 근무일(예: 5일)을 입력합니다.
- 연간 유급 휴가 주수(예: 3.0주)를 입력합니다.
- 연간 유급 공휴일 일수(예: 15일)를 입력합니다.
- 계산을 누르면 시급, 일급, 주급, 월급을 제공합니다.
입력값 설명
- 연봉(세전, ₩): 세금·4대보험 공제 전 금액.
- 주당 근무 시간(시간/주): 유급 기준 실제 근로시간.
- 주당 근무일(일/주): 한 주 유급 근무일 수.
- 유급 휴가 주수(주/년): 연차·리프레시 등 연간 총 주수.
- 유급 공휴일(일/년): 설·추석,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등 연간 유급 공휴일 수.
결과와 해석
- 시급: 연봉 ÷ 실제 근무시간
- 일급: 시급 × (주당 근무시간 ÷ 주당 근무일)
- 주급: 시급 × 주당 근무시간
- 월급: 연봉 ÷ 12
표시는 원화(₩), 천 단위 쉼표, 원 단위 반올림 적용.
계산 방법과 가정
기준
- 1년 = 52주
- 1일 근로시간 = 주당 근무시간 ÷ 주당 근무일
- 유급 휴가·공휴일 = 근무시간에서 차감
연간 실제 근무시간
\= 주당 근무시간 × (52 − 유급 휴가 주수) − 유급 공휴일 수 × (주당 근무시간 ÷ 주당 근무일)
시급(₩/시간)
\= 연봉 ÷ 연간 실제 근무시간
일급(₩/일)
\= 시급 × (주당 근무시간 ÷ 주당 근무일)
주급(₩/주)
\= 시급 × 주당 근무시간
월급(₩/월)
\= 연봉 ÷ 12
한계
- 세금·4대보험, 복리후생, 가산수당은 직접 반영하지 않음.
한국 급여·인사 맥락
- 세전 vs 세후: 본 도구는 세전 기준.
- 퇴직금: 1년 근속 시 평균임금 30일분. “퇴직금 포함 연봉” 비교 시
연봉 × (12/13)
참고. - 상여·성과급: 연간 반복 지급 시 합산 필요.
- 포괄임금제: 연장·야간 수당 포함 시 “평균 시급”으로 산출됨.
- 공휴일: 연도·회사 정책에 따라 달라짐.
활용 팁과 전략
- 포함 항목 명확히 구분 (퇴직금, 상여, 수당).
- 교대제·프로젝트 근무는 평균치 반영.
- 연차(주 단위)와 공휴일(일 단위) 이중계상 금지.
- 무급 휴게시간 제외.
- 상시 초과근로는 근무시간에 포함.
예시 계산
가정
- 연봉: ₩48,000,000
- 주당 근무시간: 40시간
- 주당 근무일: 5일 (1일 8시간)
- 유급 휴가: 3.0주/년
- 유급 공휴일: 15일/년
1. 연간 실제 근무시간
\= 40 × (52 − 3.0) − 15 × (40 ÷ 5)
\= 40 × 49 − 15 × 8
\= 1,960 − 120
\= 1,840시간
2. 시급
\= ₩48,000,000 ÷ 1,840 ≈ ₩26,087
3. 일급
\= ₩26,087 × 8 ≈ ₩208,696
4. 주급
\= ₩26,087 × 40 ≈ ₩1,043,478
5. 월급
\= ₩48,000,000 ÷ 12 = ₩4,000,000
자주 묻는 질문
-
세후(실수령액)도 계산해 주나요?
→ 본 도구는 세전 기준입니다. 세후 계산은 별도의 세금 계산 필요. -
퇴직금이 연봉에 포함되어 있으면?
→ 기본급 수준 비교 시연봉 × (12/13)
참고 가능. -
공휴일이 주말이면 대체휴일 포함?
→ 회사가 유급 대체휴일을 부여하면 포함. -
무급휴가는 어떻게?
→ 유급 휴가 주수는 0으로 두고, 연봉 감액 또는 실제 근무시간만 반영. -
시급 → 연봉 변환식
연봉 = 시급 × \[주당 근무시간 × (52 − 유급 휴가 주수) − 유급 공휴일 수 × (주당 근무시간 ÷ 주당 근무일)]
- 6일제·교대제도 가능?
→ 가능. 주당 근무일과 근무시간을 실제에 맞춰 입력.
요약
Salary to Hourly Calculator는 한국 로컬 기준으로 연봉을 시급·일급·주급·월급으로 변환합니다.
유급 휴가·공휴일까지 반영하여 실제 근무시간 대비 단가를 확인할 수 있어 채용 제안 비교, 인건비 산정, 프리랜서 견적에 유용합니다.
안내 및 면책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법률·세무·노무 자문이 아닙니다.
세율, 공휴일, 복리후생, 수당 규정은 회사·연도별로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기준과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